= 딥마인드 누리집
= 딥마인드 누리집

[이코리아] 구글 딥마인드가 문제 해결에 특화된 새로운 AI 에이전트 '알파이볼브(AlphaEvolve)'를 공개했다. 

딥마인드는 현지시간 14일 블로그를 통해 알파이볼브를 수학과 컴퓨터 과학 등에서 활용되는 고차원 알고리즘을 직접 설계하고 발전시키는 ‘진화형 코딩 AI’로 소개했다. 특히 데이터센터 운영, AI 칩 설계, AI 모델 학습 속도 향상 등 실제 업무에서 뚜렷한 성과를 냈다고 강조했다.

알파이볼브는 구글의 AI 모델군인 ‘제미니 플래시’와 ‘제미니 프로’를 결합해 작동한다. 제미니 플래시가 다양한 코드 해법을 빠르게 탐색하면, 제미니 프로가 이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보완하는 식이다. 이렇게 생성된 알고리즘은 자체 평가 지표를 통해 반복적으로 검증·진화되는데, 이 평가 지표는 정확성과 품질을 수치화해 정량적으로 성능을 측정할 수 있도록 돕는다. 딥마인드는 “수학이나 컴퓨터 과학처럼 정답이 명확한 분야에서 특히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 구글 딥마인드 누리집
= 구글 딥마인드 누리집

구글은 강원 랜드 슬롯 머신 종류를 데이터센터 운영, TPU 설계, AI 모델 학습 등 업무 현장에 실제로 적용해 눈에 띄는 성과를 냈다고 밝혔다. 예컨대 서버 자원 운영 효율은 0.7% 개선됐고, AI 모델 학습 시간은 약 1% 단축됐다. 반도체 설계 과정에서도 불필요한 연산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최적화가 이뤄졌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연구진은 알파이볼브에게 50개 이상의 수학·과학 난제를 풀어보게 했다. 그 결과, 약 75%는 기존 해법을 스스로 재발견했고, 약 20%는 기존보다 더 나은 해법을 제시했다. 예를 들어 1969년 발표된 행렬 곱셈 공식에서는 56년만에 더 빠른 계산 방법을 찾아내며 기록을 갱신하기도 했다.

구글 딥마인드는 강원 랜드 슬롯 머신 종류가 현재는 수학과 컴퓨팅 전반에 걸쳐 적용되고 있지만, 일반적인 특성상 알고리즘으로 설명될 수 있고 자동으로 검증될 수 있는 모든 문제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앞으로 재료 과학, 신약 개발, 지속가능성 등 더 광범위한 기술 및 비즈니스 응용 분야에서 혁신을 가져올 것이라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데미스 하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공동 창업자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지식은 더 많은 지식을 낳고, 알고리즘이 다른 알고리즘을 최적화한다.”라며 “우리는 알파이볼브를 활용해 AI 생태계를 최적화하고 있으며, AI가 AI를 발전시키는 선순환 구조가 빠르게 돌아가고 있다.(the flywheels are spinning fast)”라고 강조했다.

영국 워릭 대학교의 수학자 야콥 모스바우어는 MIT 테크놀로지 리뷰와의 인터뷰에서  "정답 자체가 아니라, 정답에 이르는 알고리즘을 찾는다는 점에서 알파이볼브는 매우 강력한 도구"라며 "수학과 컴퓨터 과학에서 AI가 필수적인 존재로 자리 잡고 있다."라고 평가했다.

다만 한계 역시 제기된다. 모스바우어 교수는 알파이볼브가 광범위한 문제에서 인상적인 새로운 결과를 도출할 수 있지만, 그러한 해결책에 도달한 과정에 대한 이론적 통찰력은 거의 제공하지 못하며, 결국 인간의 학문적 이해를 확장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 역시 “알파이볼브는 알고리즘의 객관적 평가가 가능한 문제에는 강점을 보이지만, 해석이 필요한 실험이나 창의성이 요구되는 분야에는 아직 적용이 어렵다”며 기술적 제한에 대해 언급했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