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리아] 국민들 10명중 6명은 민생회복 과제로 ‘물가 안정’(60.9%)을 꼽았다.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민생경제 안정을 위한 대책’ 설문조사에서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20일 밝혔다.
민생경제의 가장 큰 어려움을 묻는 질문에서 국민 과반(53.5%)은 ‘고물가 및 생활비 부담 증가’를 꼽았다.
다음으로는 ▲일자리 문제 및 고용불안(11.3%), ▲주거비 상승 및 전‧월세 부담 증가(10.0%), ▲경기 둔화 및 내수 위축(7.2%), ▲소득 정체 및 실질임금 감소(6.8%) 등을 꼽았다.
국민들이 가장 바라고 있는 민생회복 과제는 ‘물가 안정’(60.9%)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서 ▲양질의 일자리 창출(17.6%), ▲주거 안정(9.5%), ▲지역경제 활성화(7.8%), ▲취약계층 지원 강화(3.8%) 등의 순이었다.
조사결과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물가 안정’은 56.3%(30대)~64.9%(50대)의 응답비율로 모든 연령대가 민생회복 1순위 과제로 꼽았다. 특히 50대의 응답 비율이 64.9%로 가장 높았다.
민생회복 1순위 과제인 물가 안정을 위해 정부가 우선적으로 추진할 정책에 대해서는 ‘농축산물·생필품 가격 안정(35.9%)’이 가장 많이 지적됐다. 이어서 ▲공공요금(전기·가스·수도) 부담 경감(21.8%), ▲환율 변동성 완화 ‧ 수입 물가 안정(17.2%), ‣ 세금 부담 완화 ‧ 생활비 지원 강화(17.1%), ▲ 에너지 ‧ 원자재 가격 안정(7.8%) 등을 꼽았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고물가와 경기침체 장기화로 국민들의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라며, “체감물가와 직결되는 식료품‧생필품 가격 안정을 위해 농산물 수입선 다변화, 유통구조 개선 등에 노력하고, 민간의 일자리 창출 여력 확충으로 가계의 소득창출 능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