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온몸에 낚시줄과 낚시바늘이 얽힌 채 고통받아온 제주 남방큰돌슬롯사이트 아톰카지노 종달. 제공-핫핑크돌핀스]](https://cdn.ekoreanews.co.kr/news/photo/202506/80643_100820_2252.jpg)
[이코리아] 제주도가 해양동물 구조에 나서며 남방큰돌고래 보호 체계 구축의 첫걸음을 뗐다. 하지만 구조 지연 사태는 ‘죽어야 구조할 수 있는’ 현 제도의 한계를 드러낸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속 가능한 해양생물 보호를 위해선 제도 개선은 물론 시민 사회의 꾸준한 관심과 감시가 필수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최근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제주 해상에서 폐어구에 걸린 남방큰돌고래 구조가 지연되고 있는 상황과 관련해 강한 우려를 표하며, 정무부지사를 단장으로 한 ‘남방큰돌고래 구조전담팀(TF)’ 구성을 지시했다. 오 지사는 “‘동물 한 마리가 폐어구에 걸린 것 가지고 매번 구조체계를 작동할 수 있느냐’는 해양수산부의 대응은 매우 아쉽다”라며, 해수부의 소극적 입장에 유감을 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제주 연안에 서식하는 남방큰돌고래는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의 ‘위기 근접 종’으로 국내에 약 120여 마리가 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해양생태계 건강성을 나타내는 핵심 지표로도 꼽힌다.
그러나 현행 ‘해양 동물 전문구조·치료기관의 관리와 지원 등에 관한 고시’는 여전히 제도적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구조 대상은 대부분 좌초되었거나 그물에 걸리는 등 명백한 피해를 본 개체에 한정돼 연안에 상주하는 남방큰돌고래와 같은 서식 집단 전체를 보호하기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동물보호단체들은 이번 TF 구성에 환영의 뜻을 밝히면서도, 더 근본적인 보호 조치가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들은 폐어구 수거 확대, 무분별한 레저낚시 규제 강화, 남방큰돌슬롯사이트 아톰카지노 주요 서식처 주변의 낚시 금지 구역 지정 및 해양생물보호구역 확대 등을 촉구하고 있다.
해외 주요국들은 해양포유류 보호를 위해 보다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시스템을 운영 중이다. 뉴질랜드는 정부와 NGO가 협력하는 ‘Project Jonah’를 통해 자원봉사 기반의 구조체계를 갖추고 있다. 수백 명의 훈련된 자원봉사자들이 연안 좌초 사고에 신속히 대응하며, 정기적인 시뮬레이션 훈련도 병행한다.
캐나다는 ‘유령 어구 기금(Ghost Gear Fund)’을 통해 어업 중 버려진 폐어구 수거 비용을 지원한다. 일부 지역에서는 드론 감시와 어구 식별 의무화 등 민관 협업 체계를 가동 중이다.
미국은 해양 포유류보호법(MMPA)을 통해 고래류, 바다거북 등 보호종에 대한 혼획, 서식지 교란, 고의적 방해 행위를 엄격히 금지하고 있으며, 주마다 전담 병원과 구조기관이 운영 중이다. 대표적으로 플로리다의 세인트오거스틴 센터와 캘리포니아 해양포유류센터는 구조뿐 아니라 교육·연구 기능도 수행한다.
영국은 ‘영국 잠수부 해양 생명 구조(BDMLR)’라는 NGO가 전문 잠수 요원, 수의사들과 함께 전국 단위 구조 네트워크를 운영하며, 조기 감지 시스템과 구조 훈련도 정례화돼 있다.
전문가들은 제주도의 이번 TF 구성을 “늦었지만 중요한 첫걸음”이라 평가하면서도, 보다 구조적이고 예방 중심의 보호 체계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특히 제주 연안은 낚시, 레저, 선박 통행이 집중된 지역으로, 사고 발생 후 대응보다 사고 자체를 줄이는 사전적 접근이 우선이라는 지적이다.
환경단체 관계자는 “제도는 명확한 보호 의지와 함께 설계돼야 실효성이 있다”라며 “지속 가능한 공존을 위해 과감한 구역 제한과 함께 주민·어민 대상의 교육과 설득이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라고 말했다.
시민단체 핫핑크돌핀스도 TF 구성 자체는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실질적 구조 역량과 제도 보완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한다. 핫핑크돌핀스 관계자는 “현재 폐어구로 인해 고통받고 있는 남방큰돌고래 개체들을 구조하는 일이 가장 시급하다”라며 “이를 위해서는 최소한 구조용 선박 2척 이상과 해양 동물 임상 경험이 있는 수의사·아쿠아리스트, 구조 경험이 있는 시민단체들과의 협업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러한 구조 활동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지속해서 이어지기 위해선, 예산과 인력 지원 등 제도적 뒷받침이 꼭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