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수도권매립지 제3매립장, 출처-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https://cdn.ekoreanews.co.kr/news/photo/202506/80828_101058_5933.jpg)
[이코리아] 2026년부터 시행될 수도권 쓰레기 직매립 금지를 앞두고 대부분의 지자체가 아직 뚜렷한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각 지방자치단체는 소각시설 신·증설 계획을 추진하고 있지만, 주민 반대에 부딪혀 사업이 줄줄이 지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환경부는 직매립 금지 조치의 유예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정책 실효성과 기후 위기 대응 의지를 둘러싼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이 서울, 경기, 인천 지역 환경단체들과 함께 각 지자체를 대상으로 정보 공개 청구를 진행한 결과, 수도권 대부분의 지자체가 직매립 금지 이후 민간 마카오 카지노 슬롯 머신장에 의존할 계획이거나, 사실상 아무런 대안을 마련하지 않은 상태였다. 특히 서울 25개 자치구 중 17곳, 인천 10개 지자체 중 6곳이 민간 마카오 카지노 슬롯 머신장 활용을 검토 중이며, 경기도 19개 직매립 지자체 가운데 다수도 민간 위탁을 계획 중이다.
직매립 금지 시행이 4년 전 예고됐음에도 지자체들의 준비는 여전히 미비하다. 경기도의 경우 31개 시·군 중 27곳이 공공소각장 신·증설 계획을 수립했으나, 대부분의 완공 시점은 2030년 이후로 예정되어 있다. 서울시와 성남시는 소각장 현대화를 통해 오히려 소각 용량을 축소하겠다는 입장이다.
공공 인프라 부족 속에서 지자체들이 민간 소각업체에 의존하게 되면, 폐기물 처리비용 상승과 함께 민간시장 변화에 따른 불안정성이 커질 수밖에 없다. 환경단체는 "폐기물처리는 공공의 책무이며, 민간 위탁은 단기적 응급처방일 뿐 지속 가능한 해법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환경부는 현재 각 지자체의 준비 상황과 주민 수용성 등을 고려해 직매립 금지 유예를 사실상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한국도 단순히 마카오 카지노 슬롯 머신시설 확대나 유예 검토보다는, 실질적인 감량과 공공 인프라 확충이라는 근본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성공적인 폐기물 정책을 위해서는 지자체 간 협력을 통한 광역 처리 체계, 주민 수용성 확보를 위한 투명한 정보 공개와 협의체 구성, 그리고 재활용 시장 안정화를 위한 국가 차원의 제도 설계가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해외 주요국들은 보다 구조적인 접근으로 생활폐기물 감축과 직매립 최소화를 달성하고 있다.
독일은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와 ‘포장재 회수 의무제도’를 통해 폐기물 발생 자체를 줄이고, 발생한 폐기물은 체계적으로 분류·재활용한다. 지자체는 소각과 매립 이전 단계에서 철저한 분리배출과 재활용을 수행하고, 매립은 원칙적으로 금지된다.
스웨덴은 생활폐기물의 99%를 재활용하거나 에너지화하고 있으며, ‘자원은 쓰레기가 아니다’는 정책 기조 아래 재활용 산업을 국가 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각 지방정부는 소각과 재활용 시설을 공공이 주도해 운영하며, 주민 대상 정보공개와 교육도 병행하고 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시는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 목표를 세우고, 식품물 퇴비화, 의무 분리수거, 기업 대상 벌칙과 인센티브 등 다각도의 정책을 운영 중이다. 민간 업체와의 위탁은 공공의 관리 하에 이뤄지며, 모든 계약에는 감량 목표와 보고 의무가 명시된다.
반면 자원·기술이 제한된 남반구 국가들은 일찍부터 지역사회 기반의 순환경제를 실험해왔다. 콜롬비아와 인도네시아는 ‘비공식 수거 노동자’를 제도화해 재활용 효율을 높였으며, 남아공은 공동체 기반의 재사용센터를 통해 쓰레기 감축과 일자리 창출을 동시에 달성했다.
이처럼 폐기물 문제는 단순히 ‘어디에 버릴 것인가’의 문제가 아니라, ‘어떻게 만들고 얼마나 줄일 것인가’의 문제로 전환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26년 직매립 전면 금지를 실효성 있게 추진하려면, 유예 여부를 떠나 지금부터라도 감량 중심의 정책 전환과 공공 인프라 확충을 본격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